변경 여지가 적은 경우, mySQL과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
변경 여지가 큰 웹서비스 로깅을 위해서는 NoSQL을 사용
(웹 서비스 성능 향상을 위해 redis같은 in-memory 방식의 데이터베이스도 많이 사용됨)
블로그 기능에서의 데이터베이스 활용
- mysql: 구독으로 얻어진 이메일 주소 정보를 저장
- mongodb: 블로그 접근 사용자의 IP와 접근 시간을 로그 형태로 저장
- 로깅은 통상적으로 수시로 포맷이 바뀌는 경우가 많으므로 스키마 설정이 필요없는 NoSQL이 적합
MySQL
cmd 창에서 blog_db 데이터베이스 생성
mySQL CRUD 간단하게 복습
사용자 테이블
MongoDB
연결 확인
CRUD 복습
MVC 구조로 폴더를 생성
FLASK_ABTEST
├─blog_control
│ session_mgmt.py
│ user_mgmt.py
│
├─blog_view
└─db_model
mongodb.py
mysql.py
db_model > mongodb.py
db_model > mysql.py
blog_control의 session_mgmt.py, user_mgmt.py에 각각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연결